맨위로가기

프레체 트리콜로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체 트리콜로리(Frecce Tricolori)는 이탈리아 공군의 곡예 비행단으로, 1961년 창설되었다. 다양한 곡예 비행팀의 역사를 거쳐 결성되었으며, 1961년 3월 1일 리볼토 공군기지에서 313번째 에어로빅 훈련대로 창설되었다.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노스아메리칸 F-86 세이버, 피아트 G.91, 에어마키 MB-339 등의 항공기를 운용했으며, 2024년에는 알레니아 에어마키 M-346 마스터를 새로운 항공기로 사용할 예정이다. 1988년 람슈타인 에어쇼 참사 등 여러 사고를 겪었으며, 고고도, 저고도, 평면 비행의 세 가지 비행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프레체 트리콜로리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부대 명칭프레체 트리콜로리
로마자 표기Frecce Tricolori
다른 명칭제313곡기비행단
313° Gruppo Addestramento Acrobatico
국가곡예비행단 (Pattuglia Acrobatica Nazionale, PAN)
창설일1961년 3월 1일
국가이탈리아
소속이탈리아 공군
역할곡예 비행 전시 부대
주둔지리볼토 공군 기지, 코드로이포, 우디네현, 이탈리아
모토없음
색상이탈리아의 국기색
부대 휘장
프레체 트리콜로리 휘장
부대 배지
장비
과거 사용 항공기1961–1963: 캐나다 F-86E
1964–1981: 피아트 G.91 PAN
현재 사용 항공기1982–현재: 아에르마키 MB-339-A/PAN
차기 도입 예정 항공기아에르마키 M-346

2. 역사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이탈리아 공군 최초의 곡예 비행단은 아니었다. 1920년대 말부터 카발리노 람판테(Cavallino Rampante, 램펀트 호스), 게티 토난티(Getti Tonanti, 썬더링 제트), 디아볼리 로시(Diavoli Rossi, 레드 데블스), 티그리 비안케(Tigri Bianche, 화이트 타이거스), 란체리 네리(Lanceri Neri, 블랙 랜서스) 등 다양한 곡예 비행단이 활동했다. 1961년, 이탈리아 공군 참모부는 이러한 곡예 비행단을 통합하여 단일 곡예비행단인 프레체 트리콜로리(Pattuglia Acrobatica Nazionale)를 창설하기로 결정했다.[30]

카발리노 람판테(Cavallino Rampante) 마크가 새겨진 F-86E


1961년 3월 1일, 리볼토 공군기지에서 313번째 에어로빅 훈련대가 창설되면서 프레체 트리콜로리가 공식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초창기에는 노스아메리칸 F-86E 전투기를 사용했으며, 1963년부터는 피아트 G.91 전투기로 기종을 변경했다. 1982년부터는 아엘마키 MB-339 훈련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기종으로 50,000시간 비행 기록을 경신했다.[30]

1988년 8월 28일, 독일 람슈타인 공군기지에서 열린 에어쇼에서 프레체 트리콜로리 제트기 3대가 공중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조종사 3명을 포함하여 70여 명이 사망하고 345명 이상이 부상을 입는 참사가 발생했다.[33][34] 이 사고 이후 에어쇼 안전 규정이 강화되었다.

2023년 9월 16일, 이탈리아 공군 창설 100주년 기념식에서의 시범 비행 훈련 중 MB-339 항공기 1대가 추락하여 여아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27][28]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2005년 영국 페어포드에서 열린 로열 인터내셔널 에어 타투에서 최고 시범상을 수상했으며, 비 러시아 군대로는 최초로 러시아 항공우주 은메달 훈장을 수상했다.[31][32] 2007년 9월 8일에는 루치아노 파바로티의 장례식에 참석하여 추모 비행을 하기도 했다.[15]

2010년 9월에는 창설 50주년을 기념하는 에어쇼가 리볼토 공군기지에서 개최되었으며, 레드애로즈, 파트루이유 드 프랑스 등 세계 각국의 곡예비행팀이 참가했다.

2011년 이탈리아 공화국 기념일 기념식에서 이탈리아 국기를 상징하는 연기 자국을 남기며 비행하는 프레체 트리콜로리()


2022년 이탈리아 공화국 기념일 기념식에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기념비 상공을 비행하는 프레체 트리콜로리()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아엘마키 MB-339를 대체할 새로운 기종으로 알레니아 에어마키 M-346 마스터를 사용할 예정이다.[17]

2. 1. 창설 이전

이탈리아에서는 1930년 우디네 캄포폼미도 공항에 최초의 곡예비행 훈련학교가 설립되었다. 이는 리노 코르소 푸지에 대령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최초 편대는 피아트 CR.20 5대로 구성되었다.[5] 1930년 6월 8일 첫 에어쇼에서 "폭탄"과 유사한 곡예비행을 선보였다.[5]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레지아 아에로나우티카의 곡예비행팀은 브레다 BA.19 (1932년), 피아트 CR.30 (1934년), 피아트 CR.32 (1936년) 등을 사용하며 여러 행사에 참가했다.[6] 1938년에는 리나테 공항 개항식에 참여하기도 했다.[6]

1939년부터 1945년까지는 곡예비행팀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전쟁 이후 재편성되었다. 1947년에는 제51 전투비행단이 노스아메리칸 P-51 머스탱과 슈퍼마린 스핏파이어를 이용하여 곡예비행을 선보였다.[7]

1950년, 제4비행단 소속 조종사 4명으로 구성된 "카발리노 람판테" 팀이 드 하빌랜드 뱀파이어를 가지고 결성되었다.[5] 1953년에는 제5비행단 출신의 "구이쪼" 팀이 리퍼블릭 F-84 썬더제트를 운용하며 "폭탄" 곡예비행을 선보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팀은 1955년 "게티 토난티"로 이름을 바꾸고 1956년까지 활동했다.[5] 이후 제51 전투비행단의 "티그리 비앙케"가 F-84G 썬더제트를 사용하여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5]

1957년, "카발리노 람판테"가 부활하고 노스아메리칸 F-86 세이버를 도입하여 파리 에어쇼에서 성공적인 공연을 펼쳤다.[9] 같은 해, "디아볼리 로시"와 "란체리 네리"라는 두 개의 새로운 곡예비행팀도 등장했다. "디아볼리 로시"는 F-84F 썬더스트릭을, "란체리 네리"는 F-86E 세이버를 사용했다.[6]

1959년에는 게티 토난티가 F-84F 썬더스트릭을 장비하고 재편성되었으며, 1960년 로마 1960년 하계 올림픽을 기념하여 올림픽기의 다섯 개 원을 도안에 추가했다.[6]

1960년 말, 이탈리아 공군 참모본부는 여러 비행대 간의 교대를 중단하고 전국 에어로빅 팀을 구성하기로 결정했다.[5]

2. 2. 창설과 발전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이탈리아 공군 최초의 곡예 비행단은 아니었다. 1920년대 말부터 카발리노 람판테(Cavallino Rampante, 램펀트 호스), 게티 토난티(Getti Tonanti, 썬더링 제트), 디아볼리 로시(Diavoli Rossi, 레드 데블스), 티그리 비앙케(Tigri Bianche, 화이트 타이거스), 란체리 네리(Lanceri Neri, 블랙 랜서스) 등 다양한 곡예 비행단이 탄생했다. 1961년 공군 참모부가 단일 곡예비행단을 창설하기로 결정했는데, 그것이 바로 프레체 트리콜로리(Pattuglia Acrobatica Nazionale)이다.[30] 이들은 MB-339로 50,000시간 비행 기록을 경신했다.[30]

이탈리아 최초의 곡예비행 훈련학교는 1930년 리노 코르소 푸지에(Rino Corso Fougier) 대령(당시 제1 전투비행단장)의 주도로 우디네 캄포폼미도 공항에 설립되었다. 최초 편대는 피아트 CR.20 5대였으며, 1930년 6월 8일 "날개의 날(Wing Day)"이라는 첫 번째 에어쇼에서 현재의 "폭탄(bomb)"과 유사한 곡예비행을 선보였다.[5]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레지아 아에로나우티카의 곡예비행팀은 여러 행사에 참가했다. (1932년 브레다 BA.19, 1934년 피아트 CR.30, 1936년부터 피아트 CR.32 사용) 1938년에는 브루노 사르토리(Bruno Sartori, 무공 훈장 은상 수훈자)가 팀장으로 밀라노-리나테 공항 개항식에 참여했다.[6]

1939년부터 1945년까지는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전쟁 후 재편성되었다. 노스아메리칸 P-51 머스탱(미국 P-51D 머스탱)과 슈퍼마린 스핏파이어(스핏파이어 Mk.IX)를 장비한 제51 전투비행단이 1947년 9월 파도바 공항에서 스핏파이어 3대로 최초의 곡예비행을 선보였다. 이 조종사들의 열정은 곧 제5비행단의 일부 동료들에게도 이어져 스핏파이어를 기반으로 한 또 다른 곡예비행팀을 구성하게 되었다.[7]

1950년, 드 하빌랜드 뱀파이어(D.H.100 뱀파이어)를 장비한 제4비행단 소속 4명의 조종사로 구성된 "카발리노 람판테(Cavallino Rampante)"(말 발굽) 팀이 결성되었다.[5] 1953년에는 제5비행단 출신으로 리퍼블릭 F-84 썬더제트(F-84G 썬더제트)를 운용하는 "구이쪼(Guizzo)"(꿈틀거림)가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폭탄(bomb)"이라는 곡예비행 동작의 복귀 덕분에 유럽 전역의 다양한 에어쇼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4명의 조종사가 편대를 이루어 루프 상단에서 반대 방향으로 급강하하는 비행) 구이쪼(Guizzo)의 명성은 1955년 "네 명의 썬더제트(The four of the thundering jet)"라는 영화가 제작될 정도로 높아졌고, 이 영화 덕분에 부대 이름이 공식적으로 "게티 토난티(Getti Tonanti)"(천둥 제트기)로 변경되었으며, 1956년까지 활동했다. 이후에는 제51 전투비행단의 "티그리 비앙케"(흰 호랑이)가 F-84G를 사용하여 그들의 자리를 이어받았다.[5]

성공적인 1년을 보낸 후, 이 새로운 곡예비행팀은 부활한 "카발리노 람판테(Cavallino Rampante)"와 새로운 노스아메리칸 F-86 세이버(F-86E 세이버)에게 자리를 내주었고, 1957년 5월 19일 토리노 공항에서 운영을 시작하여 파리 국제 항공 우주 박람회에서 전시회를 통해 절정에 달했다. 이탈리아에서 처음으로 백색 연막 발생기를 사용하여 곡예비행을 더욱 돋보이게 한 것도 많은 예술적 성공의 원인이 되었다.[9] 1957년에는 "디아볼리 로시(Diavoli Rossi)"(붉은 악마)와 "란체리 네리(Lanceri Neri)"(검은 랜서)라는 두 개의 새로운 곡예비행팀이 등장했다. 전자는 제6 전투비행단 소속이었고, 리퍼블릭 F-84F 썬더스트릭(F-84F 썬더스트릭)을 사용하여 미국 순회공연에서 보여주듯 국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후자는 제2 항공여단 출신이었고, F-86E를 사용하여 뛰어난 운용 능력을 선보였으며, 1959년에는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샤가 참석한 가운데 이란에서도 비행을 선보였다.[6]

1959년에는 F-84F를 장비한 게티 토난티(Getti Tonanti)도 재편성되었으며, 1960년에는 로마에서 개최된 1960년 하계 올림픽을 기념하여 올림픽기의 다섯 개 원을 도안에 추가했다.[6]

1960년 말, 여러 비행대 간의 교대를 중단하고 전국 에어로빅 팀을 구성하기 위해 각 부서의 최고 조종사를 선발하는 부서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5]

이탈리아 공군 참모본부는 ''Diavoli Rossi'' 대장인 마리오 스콰르치나(Mario Squarcina) 소령에게 모든 공군 부서 조종사들로 구성된 ''Pattuglia Acrobatica Nazionale''(국가 에어로빅 순찰대)를 설립하도록 의뢰했다. 313번째 에어로빅 훈련대는 1961년 3월 1일 리볼토 공군기지에 설립되었다.[5] 같은 날, 제4비행여단의 노스아메리칸 F-86 세이버 6대가 그로세토 공항에서 리볼토로 이륙했다. 1961년 5월 1일, 트렌토-가르돌로 공항에서 열린 현지 에어로클럽 에어쇼에서 4+1 F86 세이버로 구성된 ''Pattuglia Acrobatica Nazionale''(P.A.N.)의 첫 공식 비행이 이루어졌다. 사흘 후인 5월 3일, 비행 중 사고가 발생하여 조종사 1명이 사망했다.[10]

프레체 트리콜로리(Frecce Tricoloriit)는 1963년까지 노스아메리칸 F-86 세이버를 운용했다.[5] 초기에는 현재보다 규모가 작았던 대원들은 1963년에 독주자를 포함하여 9명으로 확대되었고, 유색 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 해에는 피아트 G.91 전투기가 도입되었고, 1982년에는 현재의 에어마키 MB-339로 교체되었다.[5]

1961년에 창설된 이탈리아 공군 제313곡예비행대는 이탈리아 북부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주 우디네현 코도로이포 시에 위치한 리볼토 공군기지를 거점으로 활동한다.

초창기에는 노스아메리칸 F-86E 전투기를 사용했으며, 1963년부터는 피아트 G.91을 사용했다.

2. 3. 람슈타인 에어쇼 참사와 그 이후

1988년 8월 28일 독일 람슈타인 공군기지에서 열린 에어쇼에 약 35만 명이 운집했다. 곡예 비행 중이던 프레체 트리콜로리 제트기 3대가 상대속도 1600km 이상의 고속 기동 중 이보 누타렐리 중령의 10번기가 마주 오던 마리오 날다니 중령의 1번기, 조르조 알레소 대위의 2번기와 45m 상공에서 공중 충돌했다. 조종사들은 그 자리에서 즉사했고, 충돌로 인해 불붙은 MB-339 기체가 관중석을 덮쳤다. 당시 현장 목격자들은 이 사고를 "마치 폭탄을 투하한 것과 같았다"라고 표현했다.[33] 이 사고로 70여 명이 목숨을 잃고 345명 이상이 부상을 입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34]

이 사고 이후 에어쇼 안전 규정이 대폭 강화되었다. 모든 곡예비행단은 에어쇼에서 관중석 바로 위에서 교차 곡예 비행을 하는 것이 엄격히 금지되었고, 접근을 막는 장벽을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며, 곡예 항공기는 기체 간 상호 거리를 400m 이상 유지해야 하는 규정이 신설되었다.

같은 해 10월, 파트뤼이 드 프랑스 창설 기념 에어쇼에서는 6대의 항공기가 참가하여 플라이바이만 선보이는 형태로 에어쇼가 재개되었다.

2023년 9월 16일, 이탈리아 공군 창설 100주년 기념식에서의 시범 비행 훈련 중 MB-339 항공기 1대가 추락했다. 조종사는 탈출하여 무사했으나, 인근을 지나가던 차량이 휘말려 여아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에 따라 다음 날 예정되어 있던 기념식은 취소되었다.[27][28]

2. 4. 현재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1963년까지 노스아메리칸 F-86 세이버를 운용했다.[5] 초기에는 현재보다 규모가 작았으나, 1963년에 독주자를 포함하여 9명으로 확대되었고, 유색 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 해에는 피아트 G.91 전투기가 도입되었고, 1982년에는 현재의 에어마키 MB-339 A/PAN MLU로 교체되었다.[5]

2000년, 에어마키 MB-339로 5만 시간의 비행 시간을 기록했다.[12]

2005년 영국 페어포드에서 열린 로열 인터내셔널 에어 타투에서 최고 시범상을 수상했다. 러시아 이외 국가 최초로 러시아 항공 공로 은메달을 받았다.[13][14] 2007년 9월 8일,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모데나에서 열린 루치아노 파바로티의 장례식에 참석하여 이탈리아 국기를 상징하는 연기 자국을 남기며 추모 비행을 했다.[15]

2013년에 발표된 MB-339PAN을 알레니아 에어마키 M.345 HET(고효율 훈련기)로 교체(2017년 예정)는 2014년에 중단되었고, 2016년에 재확인되어 2020년에 도입될 예정이었으나,[16] 2024년 현재도 MB-339PAN을 운용하고 있다.

2024년 9월 12일, 이탈리아 공군은 프레체 트리콜로리가 알레니아 에어마키 M-346 마스터를 새로운 항공기로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7]

1961년에 창설된 이탈리아 공군 제313곡예비행대(313° Gruppo Addestramento Acrobatico)는 이탈리아 북부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주 우디네현 코도로이포 시에 위치한 리볼토 공군기지를 거점으로 활동한다.

초창기에는 노스아메리칸 F-86E 전투기를 사용했으며, 1963년부터는 피아트 G.91을 사용했다. 1982년부터는 아엘마키 MB-339 훈련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10대로 곡예 비행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세계 각국의 곡예비행대 중 가장 많은 대수이다. 비행대 이름을 따서 '아폴로 313'이라는 곡예 과목도 있다.

10대, 9대로 편대를 구성하고, 5대와 4대로 이루어진 두 개의 편대를 교차 및 교체하며 비행하는 것이 특징이며, 단독 비행(솔로)에서는 테일 슬라이드, 램 셰백, 크레이지 플라이트 등을 선보인다. 다른 팀들은 2대의 솔로기를 사용하지만, 프레체는 "솔로는 1대이기 때문에 솔로다"라는 팀의 방침을 고수하는 것이 특징이다. 매년 거의 같은 과목으로 곡예 비행을 선보이지만, 관객을 지루하게 하지 않으며, 비행 기술, 곡예 내용, 관객을 위한 연출 등 모든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곡예 비행 팀이다.

2010년 9월에는 창설 50주년을 기념하는 에어쇼가 리볼토 공군기지에서 개최되었으며, 영국 레드애로즈(Red Arrows), 프랑스 파트루이유 드 프랑스(Patrouille de France), 스페인 파트루라 아길라(Patrula Águila), 스위스 파트루이유 스위스(Patrouille Suisse), 크로아티아 크리라 오루예(Krila Oluje), 폴란드 비아워-체르보네 이스크리(Biało-Czerwone Iskry), 요르단 로열 요르다니안 팔콘즈(Royal Jordanian Falcons) 등 세계 각국의 곡예비행팀이 참가했다.

2018년을 목표로 기존의 MB-339에서 아엘마키 M-345 HET(아엘마키 S-211의 현대화 개량형)로 기종 변경을 계획했으나, 이후 M-346으로 변경되었다.

3. 항공기 특징 및 편대 구성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1961년에 창설된 이탈리아 공군 제313곡예비행대(313° Gruppo Addestramento Acrobatico)로, 이탈리아 북부 리볼토 공군기지를 거점으로 활동한다. 초창기에는 노스아메리칸 F-86E 전투기를 사용했으며, 1963년부터는 피아트 G.91을 사용했다.

1982년부터 아엘마키 MB-339 훈련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세계 곡예비행대 중 가장 많은 10대로 곡예 비행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폴로 313'이라는 곡예 과목도 있다. 10대, 9대로 편대를 구성하고, 5대와 4대로 이루어진 두 개의 편대를 교차 및 교체하며 비행하며, 단독 비행(솔로)에서는 테일 슬라이드, 램 셰백, 크레이지 플라이트 등을 선보인다.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솔로는 1대이기 때문에 솔로다"라는 팀의 방침을 고수한다.

2010년 9월에는 창설 50주년 기념 에어쇼가 리볼토 기지에서 개최되었으며, 레드애로즈(영국), 파트루이유 드 프랑스(프랑스), 파트루라 아길라(스페인), 파트루이유 스위스(스위스) 등 세계 각국의 곡예비행팀이 참가했다.

2018년을 목표로 MB-339에서 아엘마키 M-345 HET로 기종 변경을 계획했으나, 이후 M-346으로 변경되었다.

3. 1. 항공기 특징

알마키 MB-339의 도장은 사보이 블루 배경에 비행기 측면을 가로지르는 특징적인 삼색 띠로 이루어져 있다. 비행기의 아랫면은 연회색이며, 편대 번호는 노란색 스티커로 표시되어 있다.[18]

이탈리아 공군의 클래식 알마키 MB-339 A는 다음 두 가지 이유로 날개 끝 연료 탱크가 제거되었다.[18]

1. 특히 빠른 톤너(tonneaux, 급강하 회전)의 경우, 회전축에서 멀리 떨어진 상당한 질량으로 인해 항공기의 곡예 비행 성능에 불이익을 준다.

2. 곡예 비행 중 긴밀한 편대 유지를 더 어렵게 만들어, 옆 비행기의 시야를 부분적으로 가리고, 따라서 "그레가리"(gregari, 부대원)가 위치 유지를 위한 정확한 기준점을 갖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연기용 바셀린 오일과 날개 끝 연료 탱크 제거로 인한 자율성 감소를 부분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일정량의 연료를 모두 포함하는 혼합형 날개 아래 탱크가 만들어졌다. 원래부터 장착된 더 큰 날개 아래 연료 탱크(파일런 탱크)는 장거리 이동 비행을 위해 외부 날개 아래 파일런에 설치할 수 있다.[18] 1986년 미국-캐나다 첫 순항 당시, 원래 타원형 날개 끝 탱크보다 용량이 훨씬 큰 특수 원통형 날개 끝 탱크가 설치되었다.[18] 이 원통형 날개 끝 탱크는 나일론 탱크에 추가되어 북대서양의 장거리 비행에 충분한 자율성을 제공하며, 가능한 회항 공항으로의 우회도 허용한다.

색깔 연기는 분산에 의해 생성되며, 무공해 안료가 첨가된 바셀린 오일로 구성되어 있다.[18] 이 화합물의 배출은 비행기 후면 배기구에 설치된 작은 관을 통해 이루어진다.[18]

3. 2. 편대 구성

공연 중 곡예 비행대의 편대는 보통 "포니(Pony)"라고 불리는 9대의 항공기로 구성되며, 각 항공기에는 1부터 10까지의 번호가 매겨진다.[19][20] "포니"라는 이름은 당시 제노 타시오(Zeno Tascio) 대위가 프란체스코 바라카의 말을 기리기 위해 지은 것이다.[21] 이 말은 당시 4비행단(4th Wing), 즉 4비행기지(4th Airbase)의 상징이었는데, 이 기지는 이미 1961년 PAN 임무 인수를 준비하고 있었다. 부서의 필요에 따라 항공기는 최대 11대로 늘어날 수 있으며, 이 경우 곡예 훈련 관리자도 포함된다.[22]

번호역할
포니 0편대장
포니 1편대장
포니 2제1좌측 도메스티크(Domestique)
포니 3제1우측 도메스티크(Domestique)
포니 4제2좌측 도메스티크(Domestique)
포니 5제2우측 도메스티크(Domestique)
포니 6제1후미등
포니 7제3좌측 도메스티크(Domestique)
포니 8제3우측 도메스티크(Domestique)
포니 9제2후미등
포니 10솔로
포니 11곡예 훈련 감독
포니 12훈련 조종사
포니 13훈련 조종사
포니 14훈련 조종사
포니 15훈련 조종사
포니 16훈련 조종사



2018년 3월 28일 피렌체에서 열린 이탈리아 공군 창설 95주년 기념행사에서의 프레체 트리콜로리(삼색 화살) 통과

4. 비행 프로그램 및 조종사 선발

2005년 페어포드에서 열린 왕립 국제 에어 타투에 참가한 이탈리아 공군 아크로바틱 팀 프레체 트리콜로리의 밀집 편대


이탈리아 공군 아크로바틱 팀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날씨와 전시장 특성에 따라 고고도, 저고도, 평면 비행 등 세 가지 프로그램으로 곡예 비행을 선보인다.[2] 프레체 트리콜로리의 공연은 가능할 때마다 5km 길이의 이탈리아 국기를 하늘에 그리는 것으로 끝을 맺으며, 이때 지상 스피커에서는 루치아노 파바로티의 목소리로 'Nessun dorma'가 울려 퍼진다.[23][24] 이 기동은 프라티카 디 마레 공군기지에서 F-104 스타파이터의 작별식에서 처음 선보였으며,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세계에서 가장 긴 국기를 만들어낸 기록을 세웠다. 2007년 9월 8일,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모데나 상공에서 파바로티의 장례식 직후 그에게 경의를 표했다.[23][24]

프레체 트리콜로리에는 1,000시간 이상의 비행 시간을 가진 조종사들 중에서 매년 1~2명이 선발된다.[25] 선발된 조종사들은 단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25]

4. 1. 비행 프로그램

이탈리아 공군 아크로바틱 팀 프레체 트리콜로리(Frecce Tricolori)는 날씨와 전시장 특성에 따라 세 가지 프로그램으로 곡예 비행을 선보인다.[2]

  • 고고도 프로그램: 구름 기저고도가 1,000m 이상일 때 선택되며, 수직면에서 모든 곡예 비행을 수행한다.
  • 저고도 프로그램: 구름이 500~600m를 넘지 않을 때 선택되며, 루프나 폭탄 투하와 같은 수직 기동은 하지 않는다.
  • 평면 비행 프로그램: 저고도 편대 기동을 포함한다.


프레체 트리콜로리의 공연은 가능할 때마다 5km 길이의 이탈리아 국기를 하늘에 그리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이때 지상 스피커에서는 루치아노 파바로티의 목소리로 'Nessun dorma'의 마지막 부분이 울려 퍼진다.[23][24] 이 기동은 프라티카 디 마레 공군기지에서 F-104 스타파이터의 작별식에서 처음 선보였으며,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세계에서 가장 긴 국기를 만들어낸 기록을 세웠다. 2007년 9월 8일,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모데나 상공에서 파바로티의 장례식 직후 그에게 경의를 표했다.[23][24]

프레체 트리콜로리에는 최고의 조종사만이 선발된다. 매년 1,000시간 이상의 비행 시간을 가진 조종사들 중에서 1~2명이 선발되며, 단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25]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10대로 곡예 비행을 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세계 각국의 곡예비행대 중 가장 많은 대수이다. 10대, 9대로 편대를 구성하고, 5대와 4대로 이루어진 두 개의 편대를 교차 및 교체하며 비행하며, 단독 비행(솔로)에서는 테일 슬라이드, 램 셰백, 크레이지 플라이트 등을 선보인다. 다른 팀들은 2대의 솔로기를 사용하지만, 프레체는 "솔로는 1대이기 때문에 솔로다"라는 팀의 방침을 고수한다.

4. 2. 조종사 선발

프레체 트리콜로리는 최고의 조종사만을 선발한다. 매년 1,000시간 이상의 비행 시간을 가진 조종사들 중에서 엄격하게 1~2명을 선발하며, 선발된 후에는 단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25]

5. 주요 사고

프레체 트리콜로리it 조종사들에게 발생한 주요 사고는 다음과 같다.[26]

하위 섹션인 '람슈타인 에어쇼 참사'와 '기타 사고'에서 대부분의 사고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해당 섹션에서는 간략하게 요약된 내용만을 제시한다.


  • 1988년 8월 28일, 독일 람슈타인 공군기지에서 발생한 공중 충돌 사고는 70명의 사망자를 낸 대참사였다.
  • 2023년 9월 16일, 이탈리아 공군 창설 100주년 기념식에서의 시범 비행 훈련 중 발생한 MB-339 항공기 추락 사고로 민간인 1명이 사망했다.[27][28]

5. 1. 람슈타인 에어쇼 참사

1988년 8월 28일 독일 람슈타인 공군기지에서 열린 에어쇼에는 약 35만 명이 운집해 있었다. 곡예 비행 중이던 3대의 프레체 트리콜로리 제트기가 상대속도 1600km 이상의 고속 기동 중 이보 누타렐리 중령의 10번기가 마주 오던 마리오 날다니 중령의 1번기, 조르조 알레소 대위의 2번기와 45m 상공에서 공중 충돌하여 조종사들은 그 자리에서 즉사했다. 충돌로 인해 불붙은 MB-339 기체가 관중석을 덮쳤고, 당시 현장에 있던 목격자들은 이 사고를 "마치 폭탄을 투하한 것과 같았다."라고 표현했다.[33] 이 사고로 70여 명이 목숨을 잃고 345명 이상이 부상을 입는 대형 참사로 막을 내렸다.[34]

같은 해 10월에 열린 파트뤼이 드 프랑스 창설 기념 에어쇼에서는 6대의 항공기가 참가하여 플라이바이만 선보이는 형태로나마 재개되었다.

2023년 9월 16일, 이탈리아 공군 창설 100주년 기념식에서의 시범 비행 훈련 중 MB-339 항공기 1대가 추락했다. 조종사는 탈출하여 무사했으나, 인근을 지나가던 차량이 휘말려 여아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에 따라 다음 날 예정되어 있던 기념식은 취소되었다.[27][28]

5. 2. 기타 사고

프레체 트리콜로리it 조종사들에게 발생한 사고 목록은 다음과 같다.[26]

조종사항공기포지션상황결과장소날짜
마시모 라파엘로 스칼라F-86E 세이버포니 3훈련사망리볼토 공군기지1961년 5월 3일
지아니 피나토F-86E 세이버포니 4훈련생존리볼토 공군기지1961년 5월 3일
지안바티스타 체올레타F-86E 세이버훈련생존리볼토 공군기지1961년 8월 21일
마우로 벤투리니F-86E 세이버훈련사망리볼토 공군기지1961년 8월 30일
에우제니오 콜루치F-86E 세이버포니 5에어쇼사망포를리1963년 5월 5일
엔니오 안티콜리F-86E 세이버포니 8에어쇼생존포를리1963년 5월 5일
라파엘레 단드레타피아트 G.91PAN포니 3훈련사망리볼토 공군기지1967년 3월 22일
지안칼로 보놀로피아트 G.91PAN포니 6훈련생존베르티올로1969년 12월 12일
발렌티노 얀사피아트 G.91PAN포니 9훈련사망팔마노바1971년 9월 22일
안젤로 게이스피아트 G.91PAN포니 7에어쇼사망프라티카 디 마레1973년 6월 2일
안토니오 갈루스피아트 G.91PAN포니 4에어쇼생존프라티카 디 마레1973년 6월 2일
산드로 산틸리피아트 G.91PAN포니 9훈련사망리볼토 공군기지1974년 3월 14일
이바노 포페피아트 G.91PAN포니 7훈련사망리볼토 공군기지1974년 3월 14일
그라치아노 카레르피아트 G.91PAN포니 2훈련사망리볼토 공군기지1978년 7월 12일
안드레아 디 파올리피아트 G.91PAN포니 4훈련생존리볼토 공군기지1978년 7월 12일
피에르지아니 페트리피아트 G.91PAN포니 2에어쇼사망밀든홀 (잉글랜드)1979년 5월 27일
비토 포스카피아트 G.91PAN포니 4훈련생존리볼토1980년 4월 9일
파스칼리노 고르가피아트 G.91PAN6251 - 7훈련무사트레비소1981년 6월 29일
안토니오 갈루스피아트 G.91PAN포니 1훈련사망리볼토 공군기지1981년 9월 2일
파비오 브로베다니피아트 G.91PAN포니 2훈련생존리볼토 공군기지1981년 9월 2일
비토 포스카MB-339PAN포니 1이동생존키우사포르테1984년 9월 4일
존 미글리오MB-339PAN포니 11훈련사망리볼토 공군기지1985년 2월 20일
마리오 날디니MB-339PAN포니 1에어쇼사망, 민간인 67명 사망람슈타인 (독일)1988년 8월 28일
조르조 알레시오MB-339PAN포니 2에어쇼사망, 민간인 67명 사망람슈타인 (독일)1988년 8월 28일
이보 누타렐리MB-339PAN포니 10에어쇼사망, 민간인 67명 사망람슈타인 (독일)1988년 8월 28일
파올로 스코포니MB-339PAN포니 10훈련사망리볼토 공군기지1988년 12월 12일
안드레아 브라가
스테파노 코미소
MB-339PAN포니 9훈련생존리볼토 공군기지2002년 10월 27일
오스카 델 도MB-339PAN포니 4이륙생존, 민간인 1명 사망토리노 공항2023년 9월 16일
(상세 정보)



1988년 8월 28일, 독일 람슈타인 공군기지에서 발생한 공중 충돌 사고로 3대의 항공기가 추락하여 지상 관객과 파일럿을 포함해 70명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발생했다. 하지만 같은 해 10월에 열린 파트뤼이 드 프랑스 창설 기념 에어쇼에서는 6대의 항공기가 참가하여 플라이바이만 선보이는 형태로 재개되었다.

2023년 9월 16일, 이탈리아 공군 창설 100주년 기념식에서의 시범 비행 훈련 중 MB-339 항공기 1대가 추락했다. 조종사는 탈출하여 무사했으나, 인근을 지나가던 차량이 휘말려 여아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에 따라 다음 날 예정되어 있던 기념식은 취소되었다.[27][28]

6. 갤러리

2005년 RIAT 에어쇼


2005년 RIAT 에어쇼


2004년 스위스 파이에른 에어쇼


에어로마키 MB-339 PAN


2004년 스위스 파이에른 에어쇼


영국의 항공쇼 RIAT에서 2005년 촬영





참조

[1] 웹사이트 Aeronautica Militare official site http://www.aeronauti[...]
[2] 서적 Caliaro 2005
[3] 서적 Caliaro 2005
[4] 웹사이트 Le Frecce Tricolori verso il 60esimo compleanno http://www.italiaita[...] 2019-10-15
[5] 웹사이트 Storia delle Frecce Tricolori http://www.aeronauti[...] 2019-10-15
[6] 웹사이트 La storia delle Frecce Tricolori http://www.pisatoday[...] 2019-10-15
[7] 서적 Caliaro 2005
[8] 서적 Caliaro 2005
[9] 서적 Caliaro 2005
[10] 웹사이트 3 marzo 1961: la nascita della P.A.N. https://storiadellef[...] 2018-03-18
[11] 웹사이트 Ustica, la denuncia choc: "L'incidente alle frecce tricolori fu un sabotaggio" https://www.ilfattoq[...] 2012-02-01
[12] 웹사이트 Aeronautica Militare official site http://www.aeronauti[...]
[13] 웹사이트 Aeronautica Militare official site http://www.aeronauti[...]
[14] 웹사이트 Aeronautica Militare official site http://www.aeronauti[...]
[15] 웹사이트 estense.com http://www.estense.c[...] 2017-02-11
[16] 웹사이트 Aermacchi M-345 HET, il nuovo aereo delle Frecce Tricolori https://www.quotidia[...] 2019-04-22
[17] 웹사이트 https://x.com/Italia[...]
[18] 웹사이트 La storia delle Frecce Tricolori http://www.pisatoday[...] 2019-10-15
[19] 웹사이트 Alla scoperta delle Frecce Tricolori http://theaviationis[...] 2009-01-06
[20] 웹사이트 Le "Frecce Tricolori" http://www.ilvolo.ne[...] 2011-12-06
[21] 웹사이트 Pattuglie acrobatiche del 4º Stormo http://www.asso4stor[...] 2016-01-26
[22] 웹사이트 PAN: presentazione Poster e Formazione 2015 http://www.aeronauti[...] 2015-01-07
[23] 웹사이트 In 100.000 a rendere omaggio a Pavarotti http://www.repubblic[...] 2008-03-16
[24] 웹사이트 Funerali Pavarotti. L'ultimo saluto dalle Frecce Tricolori http://www.estense.c[...] 2008-03-16
[25] 서적 Caliaro 2005
[26] 웹사이트 Circolo della Pattuglia Acrobatica Nazionale - Per non dimenticare http://www.circolode[...] 2019-10-14
[27] 논문 フレッチェのMB-339が墜落 地上で死者 文林堂 2023-10-20
[28] 뉴스 空軍曲技機が訓練中に墜落、地上で子どもらが死傷 イタリア https://www.cnn.co.j[...] CNN 2023-09-17
[29] 웹사이트 Aeronautica Militare official site http://www.aeronauti[...]
[30] 웹사이트 Aeronautica Militare official site http://www.aeronauti[...]
[31] 웹사이트 Aeronautica Militare official site http://www.aeronauti[...]
[32] 웹사이트 Aeronautica Militare official site http://www.aeronauti[...]
[33] Youtube 1988년 람슈타인 에어쇼 참사(Ramstein Air Disaster) 뉴스 동영상 https://www.youtube.[...]
[34] Youtube 람슈타인 에어쇼(Ramstein Airshow) 공중충돌 동영상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